우리는 기억력이 떨어지면 흔히 '건망증'이 심해졌다'고 한다. 이때 건망증은 일반적으로 양성 건망증을 의미하며,
이미 저장되어 있는 기억이기 때문에 힌트를 얻으면 답을 금방 기억 해 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분명히 하는 건데
혀끝에서 도무지 단어로 나오지 않고 맴도는 것을 '설단현상'이라 하는데, 이 역시 기억력 문제라기 보다 집중력 혹은
환경적 문제로 받아들이면 된다. 이런 경우 뇌 검사를 하면 대부분 정상 소견이 나온다.
그렇다면 도대체 기억력은 왜 떨어지는 걸까? 의학적으로 기억력 저하는 뇌 신경세포에 치명적인 '베타아밀로이드'
라는 독성물질이 쌓이면 시작된다.
베타아밀로이드가 누적되면서 기억력에 영향을 일으키는 시점이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중년 이후라 해도 기억력
감퇴 정도는 다 제각각이다. 확실한것은, 흡연을 하거나 동물성 지방 위주의 식사를 오랫동안 해온 사람의 경우
뇌혈관이 좁아져 기억력 감퇴가 빨리 오게 된다.
혈류를 통해 해마에 영양을 공급하고 독성물질을 비롯한 노폐물이 빠져나가야 하는데 혈관이 좁아지면 산소 공급을
받지 못하며 뇌세포 수가 감소한다. 그중 단기기억을 장기기억화시키는 해마의 세포가 손상을 입으면 최근에 생긴
일부터 기억이 나지 않게 된다.
특별한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우울이나 불안 등 사회 심리적 요인이 있을 경우나 성격 변화가 동반되는 경우는
정확한 검사와 치료가 필요하다.